인앤아웃버거
린지 스나이더
CEO 경영철학
(목)2022-02-24
메뉴 3개로
매출 1조를 찍는
햄버거 가게가
있다.
바로
인앤아웃버거
미국
특히 캘리포니아
여행갈 때마다
들리는 곳인데
미국인들 입맛에
딱 맞나보다~
미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햄버거로 74년 간
변하지 않는 맛과
품질로 미국판
줄서는 식당인
셈이다.
인앤아웃버거는
시대착오적인
햄버거 가게 로
불리는데~
요즘 시대에
맞지않게 메뉴도
3가지로 정형화
되어 있고
자체 주문 앱도
없으며 광고도 없다.
패스트푸드 답지않게
주문하면 10분이나
걸려 나온다.
그 인기에도
해외진출은 커녕
미국에서도 중서부
지역에만 매장이 있다.
그런데
캘리포니아에만
있던 매장이
2020년
처음으로 콜로라도주
매장을 오픈하자
14시간 동안 줄을
서는 진풍경이 벌어
진 것이다.
<< 경영철학 >>
이 같은
성공의 배경에는
린지 스나이더
인앤아웃 최고경영자
경영철학인
기본에 충실하는 게
혁신이다 라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인앤아웃은
1948년 스나이더
CEO의 조부모인
해리 스나이더와
에스더 스나이더
부부의 손맛에서
탄생했단다.
작은 매장으로
시작했지만~
맛과 품질이라는
기본에 충실하자는
경영철학 덕분에
캘리포니아를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했고 매장은
식자재가 빠르게
유통되는 곳에만
개설했다고 한다.
냉동육과 전자레인지
적외선 램프는
쓰지 않는 것을
철칙으로 삼았고
메뉴는
세 가지로 단순하지만
고객의 빵 굽기나
소스 취향을
반영한
나만의 햄버거
서비스를 제공해
큰 호응을 얻었다고
한다.
이런
경영철학으로
결국 인앤아웃은
미국 서부 지역을
대표하는
햄버거 체인이
되었다고 한다.
린지 스나이더는
2010년 24살의 나이로
인앤아웃 CEO에
취임했고 이 같은
경영 철학을 이었다.
경쟁사인
미국 동부 지역의
햄버거 프랜차이즈
쉐이크쉑은
인앤아웃의 텃밭인
서부 캘리포니아
까지 진출했지만
여전히
맛과 품질이라는
기본 원칙으로
매장을 늘리지 않고
신선한 재료를
조달할 수 있는
곳에만 직영점을
열었다고 한다.
그 결과
성장 속도는 더디나
텍사스, 오리건,
콜로라도에
오픈한 매장들이
연이어매출 대박을
터뜨리고
있다고 한다.
포브스에 따르면
인앤아웃의 매장당
평균 매출은
맥도날드의 2배에
달하며 마진율도
20% 로 경쟁사인
쉐이크쉑(16%)과
치폴레(10.5%)보다
높다고 한다.
스나이더 CEO 의
경영철학이 한가지
더 있다면 바로
사람이다.
최고의 직원에게서
최고의 햄버거와
서비스가 나온다는
생각이다.
직원들에게
업계 최고 수준의
급여를 준다.
맥도날드와
버거킹 직원은
시간당 10~12달러
정도를 받지만
인앤아웃의 시급은
15달러 이상이며
유급휴가와 의료보험
혜택도 제공한다.
파트타임으로
잠깐 일하는 곳이 아닌
미래를 거는 일터로
생각하게 만들었다.
직원 관리 및
서비스에 대한
수업을 제공하는
인앤아웃 대학을 통해
일터에서 성장할 수
있게끔 돕는다고~
인앤아웃 직원이
성장해 매니저가
되면 연봉 2억원을
받는다고 한다.
캘리포니아 에서
치과의사, 회계사의
평균 수입보다
많이 받는다.
세계
최대 직장 평가
사이트 인
글래스도어에
따르면
인앤아웃은
2018년 일하기
좋은 직장 4위에
뽑혔다고 하며
이는 구글보다
한 단계 높은
순위란다.
스나이더
CEO의 다음 목표는
기업공개(IPO) 나
해외 진출도 아닌
회사의 경영원칙과
문화라고 강조한다.
우리나라 대기업도
쉑쉑을 국내에 들여
왔지만 인앤아웃은
결국 실패한 듯 하다.
확고한
경영철학이
변하지 않고 있어
더욱 인앤아웃에
열광하나 보다.
2022년 인앤아웃 티셔츠 인앤아웃티 골든아워블랙 빅사이즈 가능 인앤아웃버거 인앤아웃햄버거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해외투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러시아 스위프트 결제망 퇴출, 스위프트 SWIFT 결제망 뜻 (월)2022-02-28 (0) | 2022.02.28 |
---|---|
미국 방역지침 변경, 마스크 벗는다 우리나라 희망이 보이는 이유 (일)2022-02-27 (0) | 2022.02.27 |
버진갤럭틱 우주여행 티켓 판매 재개, 1인당 우주여행 티켓 얼마 일까 (금)2022-02-18 (1) | 2022.02.18 |
나스닥 오르는데 메타 시총 6천억 달러 붕괴 플랫폼 규제 대상 제외 ? (목)2022-02-10 (0) | 2022.02.10 |
JP모건 국제유가 향후 배럴당 150달러 급등 예상 하는 이유 (화)2022-01-25 (0) | 2022.0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