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 토끼와 거북이의 재테크 경주 ▒
블라블라

포스트하노이 4월 11일 한미정상회담 기대(금)2019-03-29

by 오렌지훈 2019. 3. 29.
728x90

포스트하노이  4월 한미정상회담 기대(금)2019-03-29



오는 4월 10일∼11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워싱턴 D.C.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한미정상회담이 열린다.

이번 한미정상회담은 베트남 '하노이 미북정상회담 결렬' 이후 교착상태에 빠진 미북 간 비핵화 협상의 물꼬를 트기위한 한미 양국 간의 입장을 조율하는 성격의 정상회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29일 한미정상회담 일정을 발표하는 브리핑에서 "양국 정상은 한미동맹 관계를 더 강화하고 완전한 비핵화를 통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양국 공조방안을 심도있게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 일행은 한국시간으로 10일 출국, 현지시간으로 10일 미국에 도착할 예정이다. 이후 문 대통령은 미국에서 1박 한 뒤 현지시간 11일 정상회담을 하고 곧바로 귀국길에 오를 계획이다. 한미 정상 간의 회담이 몇 차례 열릴 지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출처 : 뉴스웍스(http://www.newsworks.co.kr)

한·미 정상회담의 4월 중 개최가 급물살을 타면서 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 

난관에 봉착했던 비핵화 협상이 진전을 이룰지 주목된다.

한미 사정에 밝은 복수의 외교 소식통은 28일(현지시간) “한미간에 정상회담 개최를 위한 논의가 상당히 진전돼 최종 조율단계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문재인 대통령이 4월 중순 방미해 워싱턴DC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회담을 갖는 방안이 유력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29일 예정된 한미 외교장관 회담, 금주 말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의 방미에 이어 4월 중순 한미정상회담 개최에 이르기까지 ‘포스트 하노이’ 교착 국면을 타개하기 위한 한미 간 물밑 움직임이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식통은 “마지막 조율이 끝나는 대로 조만간 발표가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그동안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 채널 등을 중심으로 한미간에 일정 등을 위한 물밑 

조율이 이뤄져 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 간 29일 

한미 외교장관 회담과 김 차장의 내주 초 백악관 및 의회 관계자들 면담 등을 통해서도 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사전 조율 및 정지 작업이 일정 부분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앞서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결렬 직후 전화통화를 통해 관련 상황을 공유한 바 있다. 당시 통화에서 문 대통령은 “가까운 시일 안에 직접 만나서, 보다 심도 있는 협의를 계속해 나가자”고 밝혔으며, 트럼프 대통령도 이에 동의하며 외교 경로를 통한 협의를 희망했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청와대의 발표에 따라 이후 한미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이 계속 거론됐다. 


한 소식통은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이후 한미 정상이 통화를 통해 빠른 시일 내 만나자는 의견을 교환한 데 대한 후속 작업 차원으로, 교착상태를 

풀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전했다.

한미 정상회담의 4월 중순 개최가 확정되면 양국 정상은 지난해 11월 30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계기에 이뤄진 회담 이후 4개월여 만에 마주 앉게 된다. 

특히 지난달 말 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 한미 정상이 직접 만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전문가들은 “현 상황에 대한 분석과 평가 및 전망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북한의 궤도이탈을 방지, 비핵화 협상을 다시 정상화하기 위한 전략 등에 대한 한미 정상 간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하노이 회담 결렬 후 미국과 북한은 한국 정부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때”라며 적극적 태도를 촉구한 바 있다. 먼저 미국이 북한의 가시적 비핵화 조치를 촉구하며 대북제재 유지 입장을 재확인해온 가운데 한국 정부가 남북경협 의지를 내비치면서 ‘한미공조 균열론’이 일각에서 제기되기도 했다. 또 북한은 “한국은 당사자”라며 적극적인 중재자 역할을 촉구한 바 있다.

이에 문 대통령은 북미 간 간극 좁히기를 시도하며 비핵화 협상을 다시 본궤도에 올리기 위해 나설 것으로 보인다. 하노이 정상회담에서 미국의 ‘일괄타결식 빅딜론’과 북한의 ‘단계적 접근론’ 사이에 명확한 입장 차가 확인된 가운데 “문 대통령이 양측 입장에 대한 절충안을 제시할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이 워싱턴 외교가 안팎에서 제기된다.

 ‘하노이 노딜’ 이후 ‘한미관계 이상기류 설’이 불거져온 가운데 이번 한미정상회담이 한미 간 엇박자론을 불식시키면서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한 

양국의 대북 공조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지도 주목된다.

앞서 하노이 회담 결렬 후 최선히 북한 외무성 부상은 기자회견에서 북한의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 복구 움직임 감지, 핵·미사일 실험 재개 여지까지 거론하며 ‘협상중단 검토’를 선언했다. 이후 중국 해운사 2곳에 대한 미 재무부의 대북제재 단행, 북한의 개성 남북연락사무소 철수 등 일련의 상황이 이어지며 북미 간 긴장이 고조됐다. 

북한의 종잡을 수 없는 행동에 트럼프 대통령이 ‘추가제재 철회 지시’ 트윗을 통해 북측에 유화 메시지를 보내고 북측도 남북연락사무소 일부 복귀 조처를 하는 등 북미 양측 모두 판을 깨지는 않고 있지만 대화 재개를 위한 모멘텀은 좀처럼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신현주 인턴기자 apple2609@sedaily.com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1VGRZQOX3F

반응형

댓글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