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켐생명과학
코로나19 치료제 임상
기대되는 이유
(토)2020-05-16
금일 외국인이 엔지켐생명과학을
30억원 이나 매수했는데~
이유는 코로나19 치료제 때문이다.
로버트 울프 교수
개발중인 코로나19 치료제를
미국 임상2상에 진입시키기 위해
로버트 울프 미국 듀크대 의대
교수를 임상시험책임자(PI)로
영입한다는 소식이 있었다.
미국에서
코로나19 치료제의 임상을
진행하는 국내 첫 기업이
될 지도 모르기에 주목된다.
울프교수는 이 분야 권위자로
평가 받는데 코로나 뿐만 아니라
HIV 나 인플루엔자등 논문만
60여 편을 발표한 경력이 있고
최근 길리어드 사이언스의
코로나19 치료제인 렘데시비르
임상 3상에도 관여했다고~
울프교수는
엔지켐생명이 개발중인
EC-18 이 렘데시비르와 달리
주요 사망원인인 중증폐렴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한다.
영입된 울프 교수는
미국 FDA에 임상시험계획을
제출하는 작업에 관여해
코로나19 치료제로 신속히
허가를 받을 수 있게 돕게 된다.
학계에서는 인정받는 의사를
PI로 영입하는 것은
성공적인 임상진행에
중요한 포인트라고 할 수 있다.
요청받은 의사들도 쉽게
결정하진 않는다. 임상 데이터를
면밀히 살핀 뒤 참여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데~
권위자로 평가되는 의사가
PI 를 하겠다고 하면
해당 기업에는 기대감이
클 수 밖에 없다.
손기영 대표
엔지켐생명은 3월 미국서
코로나19 의료대응조치(MCM)
프로그램에 참가 신청을 냈다.
MCM은 감염확산,자연재해 등
비상상황시 정부가 공급하는
긴급 의약품을 가리킨다.
MCM에 선정되면
BARDA(미 보건부 산하 생의학연구개발청)이
지원하는 임상시험을 진행하게 된다.
엔지켐생명의 코로나 신약인
EC-18은 현재 국내와 미국서
임상 1상을 마쳐 안전성 데이터는
확보된 상태이며 최근 식약처로부터
임상2상 승인을 받아 미국 임상에
속도가 날 전망이라고 한다.
'투자종목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톱텍 레몬 나노마스크 수출제한 논란(목)2020-05-21 (10) | 2020.05.21 |
---|---|
두산그룹 두산중공업 우리사주 + 구조조정 이중고(월)2020-05-18 (6) | 2020.05.18 |
국민연금도 투자한 저유가 수혜주는 이것(월)2020-05-11 (2) | 2020.05.11 |
코로나19 반사익 칵테일클라우드 나무기술 주목(수)2020-04-29 (6) | 2020.04.29 |
S-OIL 에쓰오일 창사이래 최대1조적자(화)2020-04-28 (10) | 2020.04.28 |
댓글